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**청년층(만 19~34세 이하)**을 대상으로 취업, 주거, 금융, 창업, 복지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아래는 청년들이 받을 수 있는 주요 혜택을 분야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.
1. 취업 지원 혜택
✅ ① 청년내일채움공제
- 대상: 중소·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(만 15~34세)
- 혜택: 2년 근속 시 1,200만 원(청년 400만 원 + 기업 400만 원 + 정부 400만 원) 지급
- 신청 방법: 워크넷(https://www.work.go.kr)
✅ ② 청년 일자리 도약장려금
- 대상: 취업이 어려운 청년(만 15~34세)를 채용한 중소기업
- 혜택: 기업에 1년간 최대 960만 원 지원 → 청년의 고용안정 도모
- 신청 방법: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이트
✅ ③ 청년특례 채용장려금
- 대상: 청년(만 15~34세) 정규직 채용 중소기업
- 혜택: 기업에 1년 최대 1,200만 원 지원 → 청년의 고용 유지 도움
✅ ④ K디지털 트레이닝·디지털 배움터
- 대상: IT·코딩·AI 등 디지털 분야 취업 희망 청년
- 혜택: 최대 1,000만 원 교육비 지원, 무료 온라인 교육 제공
- 신청 방법: K-디지털플랫폼(https://www.k-digital.go.kr)
✅ ⑤ 국민취업지원제도
- 대상: 취업을 원하는 청년(만 18~34세) 중 소득 120% 이하
- 혜택: 매월 50만 원씩 6개월(총 300만 원) + 맞춤형 취업 지원
- 신청 방법: 워크넷 또는 고용복지센터 방문
2. 주거 지원 혜택
✅ ① 청년 원가주택·역세권 첫집
- 대상: 무주택 청년·신혼부부
- 혜택: 시세의 70% 이하 가격으로 신축 아파트 분양
✅ ② 청년 전월세 대출
- 대상: 무주택 청년(만 19~34세, 연소득 7,000만 원 이하)
- 혜택:
- 전세 대출 최대 2억 원 (금리 1~2%)
- 월세 대출 최대 960만 원(월 40만 원)
- 신청 방법: 시중 은행 (국민, 신한, 하나, 우리은행 등)
✅ ③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
- 대상: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청년(만 19~34세, 소득 중위 60% 이하)
- 혜택: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(총 240만 원) 지급
- 신청 방법: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 방문
✅ ④ 청년 행복주택·공공임대주택
- 대상: 대학생, 사회초년생, 신혼부부
- 혜택: 시세의 60~80% 저렴한 가격으로 장기 거주 가능
- 신청 방법: LH 청약센터(https://apply.lh.or.kr)
3. 금융 지원 혜택
✅ ① 청년희망적금
-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3,600만 원 이하
- 혜택: 월 최대 50만 원 납입 시, 정부가 최대 4% 추가 지원
- 신청 방법: 시중은행(국민·신한·우리·하나·농협 등)에서 가입
✅ ② 청년내일저축계좌
- 대상: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층 청년(중위소득 100% 이하)
- 혜택: 본인 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10~30만 원 추가 지원
- 신청 방법: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)에서 신청
✅ ③ 청년전용 비과세저축
- 대상: 만 19~34세 청년
- 혜택: 적금·예금·펀드 가입 시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
✅ ④ 청년도약계좌 (2024년 신설)
- 대상: 만 19~34세, 개인소득 7,500만 원 이하
- 혜택: 월 최대 7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최대 6% 지원, 5년 후 5,000만 원+α 목돈 마련 가능
- 신청 방법: 시중은행 방문
4. 창업 지원 혜택
✅ ① 청년창업사관학교
- 대상: 만 39세 이하 청년 창업가
- 혜택: 최대 1억 원 사업화 자금 + 창업 교육
- 신청 방법: 창업진흥원(https://www.k-startup.go.kr)
✅ ② 초기창업패키지
- 대상: 창업 3년 이내 청년 창업가
- 혜택: 최대 1억 원 지원금 + 멘토링 지원
✅ ③ 소상공인 창업대출
- 대상: 청년 소상공인
- 혜택: 최대 7,000만 원 저금리 대출(연 2% 이하)
✅ ④ 청년 기술창업 지원 (TIPS 프로그램)
- 대상: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 청년
- 혜택: 최대 5억 원 R&D 지원금
5. 생활·복지 지원 혜택
✅ ① 청년 동행카드 (교통비 지원)
- 대상: 중소기업 취업 청년
- 혜택: 매월 5~10만 원 교통비 지원
✅ ② 청년 문화패스
- 대상: 만 19~24세 청년
- 혜택: 도서·공연·영화 할인 쿠폰 제공
✅ ③ 청년 건강검진 지원
- 대상: 만 19~34세
- 혜택: 2년마다 종합건강검진 무료 제공
✅ ④ 청년 정신건강 지원
- 대상: 정신건강 상담이 필요한 청년
- 혜택: 심리상담 및 치료비 지원
✅ ⑤ 병역 이행 청년 지원
- 대상: 군 복무 중인 청년
- 혜택: 병역이행 장려금 + 전역 후 취업 지원
📌 결론: 청년 지원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!
청년들은 취업, 주거, 금융, 창업, 생활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자신에게 맞는 혜택을 확인하고, 신청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!
✅ 정부 공식 홈페이지(복지로, 청년정책포털 등)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!
📞 문의처
- 청년정책포털: https://www.youth.go.kr
- 고용노동부 고객센터: ☎ 1350
- 국민건강보험공단: ☎ 1577-1000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