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한민국 정부는 임산부와 영유아 가정을 위해 출산비용 지원, 육아 지원금, 보육 서비스, 의료비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아래는 임신부터 출산, 육아까지 받을 수 있는 주요 혜택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1. 임신·출산 지원 혜택
✅ ① 첫만남이용권 (출산지원금 200만 원 지급)
- 대상: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
- 혜택: 아이 1명당 200만 원 바우처 카드 지급
- 사용처: 병원비, 출산용품, 육아용품 구매 가능
- 신청 방법: 정부24(https://www.gov.kr)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✅ ②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(국민행복카드)
- 대상: 모든 임산부
- 혜택:
- 일반 임산부 100만 원, 다태아 임산부 140만 원 지원
- 임신·출산 관련 병원비, 약제비 사용 가능
- 신청 방법: 시중 은행, 카드사, 건강보험공단
✅ ③ 출산 전후 휴가 급여 (출산휴가 3개월, 월 최대 260만 원 지급)
- 대상: 고용보험 가입 여성 근로자
- 혜택: 출산 전·후 90일 휴가 + 월 최대 260만 원 급여 지급
- 신청 방법: 고용보험 홈페이지(https://www.ei.go.kr) 또는 회사
✅ ④ 고운맘 카드 (임산부 건강보험 지원)
- 대상: 모든 임산부
- 혜택: 산부인과 검진 및 치료비 본인 부담금 경감
- 신청 방법: 건강보험공단 방문 신청
2. 육아 지원 혜택 (출생 후 ~ 8세 미만 아동)
✅ ① 영아수당 (0~1세 가정 양육수당 지급)
- 대상: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부모
- 혜택:
- 0세(출생~11개월): 월 100만 원 지급
- 1세(12~23개월): 월 50만 원 지급
✅ ② 아동수당 (만 8세 미만 아동 지원금)
- 대상: 만 8세 미만 아동
- 혜택: 월 10만 원 지급 (소득 상관없이 지급)
✅ ③ 양육수당 (어린이집·유치원 미이용 가정 지원)
- 대상: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아동
- 혜택:
- 0세: 월 30만 원
- 1세: 월 25만 원
- 2세: 월 20만 원
- 3~5세: 월 10만 원
✅ ④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(어린이집 무료 이용 가능)
- 대상: 만 0~5세 아동
- 혜택: 국공립·민간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(소득 무관)
- 신청 방법: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
✅ ⑤ 유치원 누리과정 지원 (만 3~5세 교육비 지원)
- 대상: 만 3~5세 유아
- 혜택: 월 28만 원 교육비 지원 (사립·국공립 유치원 가능)
- 신청 방법: 유치원 입학 후 자동 신청
3. 출산·육아 관련 의료비 지원
✅ ① 미숙아·선천성 질환 의료비 지원
- 대상: 미숙아, 선천성 이상아 출산 가정
- 혜택: 치료비 최대 1,000만 원 지원
✅ ② 영유아 건강검진 무료 지원
- 대상: 만 6세 이하 아동
- 혜택: 총 10차례 무료 건강검진 및 발달 검사 제공
✅ ③ 예방접종 비용 지원 (국가 필수 예방접종 무료)
- 대상: 만 12세 이하 아동
- 혜택: B형 간염, 수두, MMR 등 17종 백신 무료 접종
4. 육아 지원 서비스 (아이 돌봄 지원)
✅ ① 아이돌봄 서비스 (정부 지원 돌봄 서비스)
- 대상: 맞벌이·한부모·다자녀 가정 등
- 혜택:
- 시간제 돌봄 서비스 (육아 도우미 지원)
- 돌봄 서비스 비용 최대 80% 지원
- 신청 방법: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(https://www.idolbom.go.kr)
✅ ② 다자녀 가구 혜택 (둘째 이상 출산 가정 지원)
- 대상: 두 자녀 이상 가정
- 혜택:
- 자동차 취득세 140만 원 감면
- 국공립 어린이집 우선 입소
- 공공임대주택 가점 부여
✅ ③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
- 대상: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
- 혜택:
- 최대 1년간 근무시간 단축 가능 (주 15~30시간 근무 가능)
- 급여 최대 150만 원 지급
5. 주거 지원 (신혼부부·다자녀 가구 대상)
✅ ①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(저금리 대출 지원)
- 대상: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
- 혜택:
- 전세대출 최대 2억 원 (금리 1.2~2%)
- 월세대출 최대 960만 원 (금리 1%)
- 신청 방법: 시중은행 방문
✅ ② 신혼부부·다자녀 공공임대주택 지원
- 대상: 신혼부부 및 두 자녀 이상 가구
- 혜택:
-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
- 시세의 60~80% 수준으로 저렴한 임대 가능
- 신청 방법: LH 청약센터(https://apply.lh.or.kr)
📌 결론: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✅ 정부 지원금 및 서비스는 ‘복지로’, ‘정부24’, ‘LH 청약센터’ 등에서 확인 가능
✅ 신청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!
📞 문의처
- 보건복지 상담센터 ☎ 129
-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☎ 1350
- 국민건강보험공단 ☎ 1577-1000
- LH공사(주거복지) ☎ 1600-1004
4o
검색
이성
도움이
되셨다면
공감 꾹 ~ !
부탁드려요 💖
되셨다면
공감 꾹 ~ !
부탁드려요 💖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