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초연금, 의료비 지원, 교통비 감면, 돌봄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아래는 노인이 받을 수 있는 주요 복지 혜택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1. 기초연금 (월 최대 32만 원 지급)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, 소득·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노인
📌 혜택:
- 단독가구 월 최대 32만 3,180원 지급
- 부부가구 월 최대 51만 7,080원 지급
📌 신청 방법: 국민연금공단(https://www.nps.or.kr) 또는 주민센터 방문
2. 노인 의료비 지원
✅ ① 건강보험료 할인 및 지원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 노인
📌 혜택:
- 기초연금 수급자 건강보험료 50% 감면
- 차상위계층 노인 건강보험료 전액 지원
✅ ② 틀니·임플란트 비용 지원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
📌 혜택:
- 틀니 본인부담금 30% (약 40~60만 원)
-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30% (개당 약 30~50만 원)
📌 신청 방법: 치과 병원 방문 후 건강보험 적용
✅ ③ 노인 진료비 본인부담 경감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 노인
📌 혜택:
- 외래진료 본인부담률 경감 (의원 30% → 20%)
- 입원비 본인부담 20% → 10% 경감
✅ ④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원
📌 대상: 치매, 중풍 등으로 거동이 어려운 만 65세 이상 노인
📌 혜택:
- 요양병원·요양원 이용 비용 85% 지원
- 방문요양·목욕·간병 서비스 제공
📌 신청 방법: 국민건강보험공단(☎1577-1000) 신청
3. 노인 교통비 및 공공요금 감면
✅ ① 지하철 및 시내버스 무료 이용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 어르신
📌 혜택:
- 지하철 무료 이용 (전국 주요 도시)
- 시내버스 무료 이용 (일부 지자체 적용)
📌 신청 방법: 주민센터에서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
✅ ② KTX·고속버스 요금 할인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 어르신
📌 혜택:
- KTX·새마을호 30% 할인
- 고속버스 30~50% 할인
✅ ③ 전기·도시가스 요금 할인
📌 대상: 기초연금 수급자, 차상위계층 노인
📌 혜택:
- 전기요금 월 최대 16,000원 할인
- 가스요금 월 최대 6,600원 할인
📌 신청 방법: 한전(☎123) 또는 주민센터
4. 노인 복지 및 돌봄 서비스
✅ ① 노인맞춤돌봄서비스 (방문 돌봄 서비스)
📌 대상: 독거노인 및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
📌 혜택:
- 생활지원사 방문 서비스 (말벗, 식사·청소 도움, 외출 동행 등)
- 주 1~3회 무료 지원
📌 신청 방법: 주민센터 신청
✅ ② 무료 경로식당 및 도시락 배달 서비스
📌 대상: 저소득층 독거노인
📌 혜택:
- 무료 급식 또는 도시락 배달 지원
📌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및 노인복지관 신청
✅ ③ 노인 일자리 지원 (월 최대 30만 원 지급)
📌 대상: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
📌 혜택:
- 공공시설 관리, 실버택배, 복지시설 도우미 등 일자리 제공
- 월 30만 원 지급 (연간 10개월 근무 가능)
📌 신청 방법: 노인일자리포털(https://www.seniorro.or.kr) 또는 주민센터 방문
5. 노인 주거 지원
✅ ① 저소득층 노인 임대주택 지원
📌 대상: 무주택 저소득층 노인
📌 혜택:
- LH 공공임대주택 우선 입주 기회 제공
- 시세의 30~50% 수준 저렴한 월세 제공
📌 신청 방법: LH 청약센터(https://apply.lh.or.kr)
✅ ② 기초연금 수급자 전·월세 지원
📌 대상: 기초연금 수급 노인 중 저소득층
📌 혜택:
- 전·월세 보증금 대출 및 월세 지원
📌 신청 방법: 주민센터 상담 후 신청
📌 결론: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✅ 정부 지원금 및 서비스는 ‘복지로’, ‘정부24’, ‘LH 청약센터’ 등에서 확인 가능
✅ 기초연금, 의료비 지원, 교통비 감면, 돌봄 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을 꼭 신청하세요!
📞 문의처
- 보건복지 상담센터 ☎ 129
- 국민연금공단 ☎ 1355
- 건강보험공단(장기요양보험) ☎ 1577-1000
- LH공사(주거복지) ☎ 1600-1004
댓글